역류성 식도염((reflux esophagitis)은 위식도 경계 부위가 완전히 닫혀 있지 않아 위산 또는 위의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해 발생하는 식도의 염증으로 생기는 다양한 불편감을 일컫는다.
비만, 음주, 흡연 등이 악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.
역류성 식도염 증상
위산이 식도로 역류함으로써 가슴쓰림, 가슴의 답답함, 속쓰림, 신트림, 삼킴 곤란이 나타난다.
목에 이물질이 걸린 듯한 느낌, 목 쓰림, 마른 기침, 쉰 목소리, 가슴통증 등이 발생한다.
역류성 식도염 진단
내시경 검사로 진단을 한다.
위내시경 검사에서 진단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식도로 위산이 역류하는 지 여부를 검사하는 식도 산도 검사를 해볼 수 있다. 위식도 역류 질환의 50% 정도는 식도염이 관찰된다.
![[역류성 식도염]-증상-파모티딘vs오메프라졸vs제산제vs알긴산나트륨](http: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)
역도성 식도염 치료방법
역류성 식도염은 위산 분비 억제제 투여로 치료한다.
위산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므로 위산분비 억제제를 투여하여 치료한다.
또한 제산제로 과도한 위산을 중화하거나 손상된 점막을 보호해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다.
역류성 식도염 치료제 종류
위산의 분비를 억제하는 약물은 프로톤 펌프 억제제(proton pump inhibitor, PPI), 히스타민-2(histamine-2, H2)수용체 차단제 등 두가지가 있다.
점막을 보호하는 알긴산, 수크랄페이트 등을 사용하거나 위 산도를 낮추는 제산제가 사용한다.
프로톤 펌프 억제제(PPI 제제)
대부분의 PPI 제제는 장에서 녹아서 흡수되도록 제형으로 만든다.
- 오메프라졸
- 에스오메프라졸
- 란소프라졸
- 덱스란소프라졸
- 판토프라졸
- 라베프라졸
- 일라프라졸
H2 수용체 차단제
- 시메티딘
- 라니티딘
- 파모티딘
- 니자티딘
- 라푸티딘
- 록사티딘
점막 보호제
- 알긴산
- 수크랄페이트
제산제
제산제는 위산을 중화한다.
역류성 식도염 예방 및 관리
기름진 음식, 과식, 야식, 카페인 음료, 탄산 음료 등은 이 질병을 악화할 수 있어 피해야 한다.
역류성 식도염의 위험인자에는 비만, 흡연, 음주 등이 있으며 증상도 악화할 수 있다.
식사 후 눕는 것을 피한다고 증상이 개선되지는 않는다.
a형 독감-b형 독감-독감 예방 접종(독감 주사)
독감은 독감 바이러스(인플루엔자 바이러스 influenza virus)가 원인 병원체이다. A, B, C형 세가지가 존재하지만 사람에게 병을 일으키는 것은 A형과 B형이다. 세계보건기구(WHO)에서 매년 유행할 것으
a.wiki-tip.com
[대상포진] 초기 증상-증상-예방 접종
대상포진은 수두-대상포진바이러스의 1차 감염 후 감각 신경절에 잠복해 있던 바이러스가 재활성화돼 발생하며 피부 분절을 따라서 수포성 발진이 생긴다. VZV에 대한 면역력이 없는 사람이 대
a.wiki-tip.com
갑상선기능저하증-갑상선기능항진증-갑상선암(갑상선 유두암)
갑상선기능저하증은 갑상선 호르몬이 부족하거나 생성이 안되는 질환이며 반대로 갑상선기능항진증은 갑상선 호르몬이 과다 분비되는 질병이다. 갑상선암 환자 중 90% 이상이 갑상선 유두암 환
a.wiki-tip.com